코풀 커뮤니티

1822 장시영_MBL과학실험 보고서

활동 보고서

장*영

2025-01-05

자유낙하 운동 실험을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이 실험의 목표는 적외선 감지 센서와 충격 감지 센서를 사용해 자유낙하 물체의 운동 시간을 측정하여 중력과 자유낙하 속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 준비 과정에서 벽에 적외선 센서를 설치하고 점퍼선을 5개를 빵보드에 이어 1.5M높이를 맞추고바닥에 충격 감지 센서에 점퍼선을 이어 빵보드에 이었다 그리고 LCD를 연결해 속도, 중력 값을 출력하도록 했다. 이 작업이 끝난후 직접 물체를 떨어뜨리면서 실험을 하였다. 이 실험에서 중력값인 9.8m/s²와 비교했을때 어느정도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공기저항 때문이었다. 나는 이 실험을 하며 아두이노와 센서를 활용하여 실험을 함으로 기술의 중요성과 활용가능성을 느낄 수 있었고 이론값과 실제 측정값이 다른 것을 보고 다양한 환경요인을 생각하게 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실제 환경에서 발생하는 여러 상황의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학습 기회로 나에게 다가왔다.

물과 소금물의 어는점 비교 실험을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이 실험의 목표는 방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실험 장치를 설계하고 물과 소금물의 어는점을 비교해보는 실험을 하는 것이다. 이 실험에서는 그냥 물과 소금 물을 준비한 후 이를 얼음과 물 근데 소금을 곁들인 액체에 담군 후 온도를 비교하며 어는 점을 측정했다. 이 실험에서 소금물이 일반물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언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나는 이 실험을 하며 아두이노와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데이터 측정을 체감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온도 변화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과학적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불쾌지수 측정 실험을 앱인벤터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이 실험의 목표는 온습도센서로 불쾌지수를 계산하고 불쾌지수 알리미 어플을 만들어보는 것이다. 이 실험에서는 먼저 아두이노에 블루투스와 온습도 센서를 연결하고 앱 인벤터를 이용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핸드폰에 연결해 화면에 불쾌지수를 나타내어 불쾌지수를 관찰할 수 있었다.실내에서는 불쾌지수가 보통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온습도 센서에 입김을 호 하고 불어 온도와 습도를 높였을 때 불쾌지수가 급격히 상승하여 나쁨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온도와 습도가 불쾌지수와 비례 관계에 있다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나는 이 실험을 하며 센서 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불쾌지수가 바로 바뀌는 것을 보며 실시간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을 느끼었다

computer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