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풀 커뮤니티

1521한도규 활동보고서

활동 보고서

한*규

2025-01-05

물과 소금물의 어는점 이해하기, 자유낙하윤동, 불쾌지수 앱 만들기 등의 실습을 하며 피지컬 컴퓨팅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다. 물과 소금물의 어는점 이해하기 실습 과정에서는 방수 온도센서를 활용해서 물과 소금물의 어는점을 비교하는 실습을 해보았는데, 핀에 연결된 방수 온도 센서 객체를 생성하고, 데이터 리셋 액셀 첫행 이름 설정을 하고 void loop()을 이용해 방수 온도 센서의 값을 변수에 저장해 시리얼 모니터에 띄운 값을 DLX-DAQ를 실행해 엑셀에 저장시켜 서로 비교를 하는 과정을 아두이노 코드 작성을 통해 나타내었다. 직접 코드를 작성하며 원리를 이해하고, 또한 작성한 코드대로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실제 물과 소금물의 어는점을 비교하는 최종 목표를 이루게 되자, 프로그래밍에 대해 한층 더 깊이 알아갈 수 있었다.

자유낙하운동 실습에서는 물체의 자유낙하 시간과, 속도, 중력을 적외선 센서와 충격감지 센서를 통해 출력하는 실습을 진행했다. 적외선감지 센서에 물체가 감지되고, 충격감지 센서에 감지가 되면, 낙하 속도, 시간, 중력의 값을 구해 연결된 LCD에 출력하는 코드를 짜야했었다. 설명하니 쉬워보이는데, 전혀 그렇지 않았다. 실험 기구들을 벽에 설치하는 과정부터, 센서들을 아두이노에 설치하는 것까지, 어지러웠고, 복잡한 과정의 연속이었다. 프로그래밍이란 가만히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닌 그 원리를 이해하고 구조를 설계하는 능력 또한 충분해야함을 배웠다. 이번 실습이 가장 어려웠던 것 같은데, 그만큼 배워가는 점도 많았던 것 같다. 감지된 값을 변수에 넣어 최종적으로 변수의 값을 계산해 구하고자 하는 값을 구하는 과정이 보기에 즐거웠다.

앱 인벤터와 아두이노를 활용해 불쾌지수를 나타내는 앱을 구현하는 실습도 진행하였다. 아두이노에 습도 센서, 온도 센서를 연결한 후 아두이노에서 감지한 값을 int로 변수에 저장한 후 불쾌지수를 구하는 공식에 대입해서 불쾌지수를 구하는 과정과, 그 불쾌지수에 따른 측정 결과를 float로 변형 후 스마트폰 화면에 나타내는 과정 또한 실습하였다. 이 실습을 통해 관심 분야인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한층 더 깊이 이해를 할 수 있어 좋았고,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사실이 기쁘게 다가왔다.

computerlogo